[GA4] 경로 분석 보고서

2022. 7. 2. 14:34구글 애널리틱스

어떻게 보면 구글 애널리틱스 같은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은 우리 고객을 이해하기 위함이 아닐까? 

그래서 구글 애널리틱스를 사용하다면, 반드시 경로 분석을 통해 고객에 대한 파악이 필요하다. 

오늘은 우리 고객이 우리 사이트에서 어떻게 행동하는지 알아보도록 하자. 

 

Table of Content
1.  경로 분석이란? 
2.  구글 애널리틱스에서 경로 분석 시작

1.  경로 분석이란?

우리 사이트에 유입한 고객이 특정 페이지를 보고 특정 이벤트를 보고 난 이후의 또 다른 행동들을 하고 제품이나 서비스가 마음에 들면 구매를 하게 된다. 구매를 하기 전 고객이 어떤 경로를 거쳐서 구매 결심을 했는지 또는 왜 포기했는지 고객의 각 단계별 경로를 이해하는 것이 경로 분석이라 할 수 있다. 

 

여기서는 단순히 구매 를 목표로 이야기했지만, 이건 사업의 목적마다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뉴스레터를 구독하기 전까지 고객이 어떤 행동을 했는지?  로그인후 사용자가 어떤 행동을 했는지? 도 이해할 수 있다. 

 

 

 

2.  구글 애널리틱스에서 경로 분석 시작

UA버전보다 GA4 버전이 경로 분석을 하는데 보완된 점들이 있다. GA4 기준으로 설명을 하면, 보고서는 탐색 섹션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섹션으로 들어가면 새로운 템플릿을 만들 수도 있고, 아니면 기존에 만들어진 섹션을 선택할 수 도 있다. 

이번 포스팅은 경로 분석에 관한 내용이기에  경로 탐색 분석을 클릭해보자. 

 

 

 

들어가면, 여러 탭들이 뜨게 되는데 구조는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다. 이런 구조는 경로탐색에서만 나타나는 게 아니라, 보고서 전체가 크게 3가지 틀로 나뉜다. 

 

1) 변수

변수에서는 보고서에 나타나고자 하는 데이터의 input을 설정하려고 할때 사용한다. "+" 버튼을 눌러서 내가 원하는 것을 추가할 수도 있다. 

 

2) 태그 설정

보고서가 나타내고자 하는 유정을 설정한다. 

 

2.1) 고유한 노드

고유한 노드만 보기는 말 그대로 하나의 노드만 보여주는 것이다. 여기서 말하는 노드는 결과 보고서에 보여주는 각 값들(session_start, scroll...)을 노드라고 부른다. 

 

예를 들어 A라는 사람이 session_start -> page_view -> page_view -> click을 했다고 가정하자. 

이럴 경우 고유한 노드만 보기 탭을 OFF하면 2단계와 3단계에서 page_view가 동일 하게 각각 나타나게 된다. 

 

 

 

이와 반대로 고유한 노드만 보기설정을 다시 ON 하면, 동일한 이벤트 이름이었던 page_view은 사라지고 가장 먼저 발생한 것 하나만 나타낸다. 

 

 

 

2.2) 세분화

세분화는 보고서 상에 보여주는 결과 값에 대해 특정 기준을 주고 싶을 때 유용하게 사용된다.

 

세분화 부분을 클릭하면 내가 설정할 수 있는 기준들이 나오게 되는데, 나는 "국가"로 설정해 줬다. 그러면 보고서 하단 부분에 미국, 중국, 인도 등.. 이렇게 나오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때, 각 동그라미 부분마다 클릭을 해주면 그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위 보고서에 나타나게 된다. 미국을 선택했기 때문에, 아래 도표에서 파란색 부분이 미국에 해당하는 걸 볼 수 있다. 

 

 

 

 

3. 결과 보고서

변수& 탭설정에서 나타내고자 하는 데이터 값의 셋팅이 완료되면 내가 원하는 결과가 결과 보고서에 보여주게 된다.

 

3.1) 다시시작

보고서 결과 페이지 오른쪽 상단을 보게 되면 다시 시작 이라는 문구가 보인다.

다시 시작을 셋팅하면 내가 알고 싶은 경로부터 시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일 행사를 본 후의 고객 경로를 파악하고 싶을 때나 실 구매하기 전 어떤 경로를 거치는지 파악할 수 있다

 

 

 

 

클릭해주면, 시작점과 종료점을 선택하라고 한다. 만약 프로모션 이벤트를 보고 난 이후의 고객 여정을 파악이라는 가정을 해보자. 

시작점을 클릭하면 이벤트 / 페이지 제목이 나오는데, 여기서는 이벤트(view_promotion)를 본 후의 고객 여정을 파악해보기로 가정하고 이벤트 선택 후 view_promotion을 클릭해준다.

 

 

 

그러면 view_promotion을 본 고객 이후의 경로가 나오게 된다. 

 

 

 

시작점을 선택한 이후 단계 1,2,3...이렇게 나오는데 기본적으로 이벤트 이름으로 표현이 되지만 네모 박스를 선택하면 이벤트 이름 이외에도 페이지 제목 등으로 변경할 수 있는 탭이 나온다. 

 

 

 

그리고 아래 보여주는 노드 값(ex. scroll, view item list...) 중에서 특정 노드를 보기 싫을 때는 연필 모양 아이콘을 클릭해준다. 

 

 

 

그러면 현재 보고서에서 표시되는 노드들을 볼 수 있다. 만약, 내가 view_item_list를 제외한 나머지 노드들은 보기 싫다고 하면, 그 이외 값들은 체크 박스를 해제해 준다. 

 

 

 

그러면, 최종적으로 내가 보고 싶은 이벤트 view_item_list를 제외한 나머지 이벤트들은 외 11개로 표시가 된다. 

 

 

 

경로 분석을 활용하는 방법은 다양하니, 각 목적에 따라 데이터 셋팅을 한 후 분석을 한다면 의미 있는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 궁금한 사항이 있다면, 밑에 댓글 및 이메일(stelch@naver.com)로 연락 주세요!